정석윤 교수 |
정부는 지난 7∼8월 장마철 집중호우로 피해를 본 4만7천767농가에 3만4천175㏊에 재해복구비 1천272억원 지원책을 발표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농업 분야에 대한 신속한 복구 대책으로 농업인은 그나마 안도의 한숨을 쉬고 있다. 올해 장마철 호우는 한우 1천161마리, 돼지 3천759마리, 가금류 51만9천532마리가 폐사했다.
정부는 농가 지원책과는 별도로 홍수 예방을 위한 농업용 저수지, 배수로 등 공공시설물 파손 복구비 1천756억원 투입에 이어 낡은 수리시설 개·보수비용 6천64억원을 편성했다. 내년에는 3천145억원의 예산으로 상습침수 농경지 176곳에 투입하고, 과수의 냉해와 낙과 방지 시설 지원도 약속했다. 참으로 반가운 소식이다.
'3년 가뭄은 견뎌도 한 달 홍수는 못 견딘다'라는 속담처럼 우리나라의 영향을 미치는 태풍의 발생은 늘어나 국민의 인명·재산에 엄청난 피해를 주고 있다. 국가적으로도 엄청난 손실이다. 올해는 가장 길었던 장마와 집중호우, 바비·마이삭·하이선 태풍의 영향으로 유달리 피해가 컸다. 수해 현장에서 소중한 생명과 삶의 터전까지 한꺼번에 잃은 수재민을 바라보면서 필자는 가슴이 너무 아팠다.
자연 재난은 인간에게 예고하지 않기 때문이 자연의 움직임을 알고 재난을 예방할 수 있는 지혜가 필요하다. 지금이라도 우리 농업에 관심을 가져 농업의 본원적 가치와 자연재해 예방과 같은 부가적 가치를 극대화 해야 할 이유도 여기에 있다.
농업과 농촌은 먹거리 생산이라는 고귀한 기능과 함께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엄청난 공익적 가치를 갖고 있다. 식량안보, 아름다운 농촌 경관, 생태환경을 보전, 자연재해 예방 역할도 맡고 있다. 수자원 확보, 지역사회 유지, 전통문화 계승에도 톡톡한 몫을 하고 있다.
일부 경제학자는 농업과 농촌의 가치를 단순히 경제적 논리를 앞세워 국내총생산(GDP)에서 농업의 비중은 2%에 불과하다며 평가 절하하고 있다. 그렇지만, 농업 선진국 미국(1.3%)과 프랑스(1.7%), 캐나다(1.5%)보다 우리 농업의 비중이 높은 것을 참작하면 국민경제 기여도는 결코 작다고 할 수 없다.
한국은행 통계자료에 따르면 국민경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부가가치 유발계수는 농업이 0.845로 자동차(0.692)나 반도체(0.578)보다 상대적으로 높고, 다른 산업에 미치는 시너지 효과가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농업과 농촌은 먹거리 생산부터 환경 보전, 관광·휴식처 제공, 전통문화 계승, 자연재해 예방까지 공익적 역할을 묵묵히 수행해왔다. 귀중한 농업과 농촌을 유지하고 부가적인 기능을 갖추지 못했다면 인간의 삶은 어떻게 됐을까 하는 깊은 생각에 빠져본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가 끝나면 우리 국민은 잊고 살았던 농업과 농촌의 공익·부가적 가치를 스스로 인식하고, 미래의 신산업으로 발전시키도록 노력을 해야 한다. 농업과 농촌의 발전은 장마와 홍수와 같은 자연재해 장기예방책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주역이 될 것은 분명하기 때문이다.
정석윤<농협구미교육원 교수>
October 04, 2020 at 10:00PM
https://ift.tt/33squCm
[기고] 정석윤(농협구미교육원 교수)...미래산업의 주역은 농업이다 - 영남일보
https://ift.tt/2XM5B2a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기고] 정석윤(농협구미교육원 교수)...미래산업의 주역은 농업이다 - 영남일보"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