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식량난→ 북한 식량난→ 우리는 퍼주남?
▲ 물에 잠긴 양쯔강 유역 도시. ⓒ뉴시스 신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양쯔강 유역 희토류 생산시설들 초토화
“희토류 업계에서 유명한 셍허자원지주가 양쯔강 유역에 지은 희토류 생산시설이 최근 일어난 ‘100년 만의 홍수’로 파괴돼 최소 수천만 달러의 손해를 본 것으로 알려졌다”며 “셍허자원지주 주가는 26일 중국 상하이 증시가 열리자마자 전일 대비 10% 이상 폭락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25일(이하 현지시간) 보도했다.
통신에 따르면, 셍허자원지주는 중국 유명 희토류 생산업체 ‘르샹셍허’, 시창룽허 촉매신물질을 자회사로 두고 있다. “르샹셍허는 이번 홍수로 2억2000만 위안(한화 379억원) 상당의 자재 재고를 포함해 2억4000만~3억3000만 위안(413억~568억원)의 손해를 입었다”고 통신은 설명했다.
닛케이 아시아 리뷰에 따르면, 르샹셍허 공장은 양쯔강 일대에 있었다. 이는 생산 과정에서 매우 많은 독성물질 배출하는 희토류 제조공정의 특성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 홍수로 범람한 강물에 생산시설이 초토화되면서, 중국의 희토류 수출에 비상이 걸렸다는 설명이었다. 지난해 르샹셍허 한 곳에서만 2만8000톤의 희토류를 생산해 냈다. 이는 중국의 2019년 희토류 총생산량 13만2000톤의 20%에 이르는 양이다.
양쯔강 일대에 있는 희토류 생산시설들이 상당수 피해를 입음에 따라 전 세계 스마트폰, 컴퓨터, 디스플레이 기기 제조업체는 물론 전투기, 미사일, 레이더 같은 군사장비 제조업체도 소재 수급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매체는 지적했다.
▲ 농지 앞에 있는 제방을 보강하는 중국 인민해방군. ⓒ뉴시스 신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희토류 공장만 강변에 있는 것은 아니다. 매체는 “쓰촨허방생명과학이라는 비료 업체의 공장 또한 홍수로 물에 잠겼다”며 “업체 측에 따르면 피해액이 3억5000만 위안(602억원)에 달한다”고 전했다. 중국 인산염 생산의 24%를 차지하는 푸화그룹 또한 이번 홍수로 피해를 입었다고 매체는 전했다. 인산염은 주로 비료원료로 사용하는 물질이다.
뿐만 아니라 농사에 필수적인 제초제도 공급 위기 가능성이 커졌다. 매체는 제초제 원료인 글루포시네이트 관련 물질을 생산하는 이타이 테크놀로지가 일찌감치 홍수 피해로 공장을 닫았다면서 이로 인해 글루포시네이트 가격이 7월에만 전월보다 10% 이상 올랐다고 설명했다.
식량 확보와 직결되는 비료와 제초제는 희토류와 달리 중국 공산당의 체제 안정에 필수적인 제품이다. 그렇지 않아도 최근 홍수 때문에 올해 중국의 농사가 흉년일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중국 국가홍수가뭄방지센터 발표에 따르면, 이번 홍수로 603만 헥타르(6만300㎢, 서울 면적의 99.6배)의 농지가 피해를 입었고, 이 가운데 19%(114만 헥타르, 11400㎢)에서는 수확을 아예 할 수 없는 상황이다. 게다가 지난 2개월 보름 동안의 홍수로 발생한 이재민이 6300만명, 직접적인 경제적 손실은 1789억 위안(30조8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 올해 중국에서 식량난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뿐만 아니라 대외적으로 원조를 해줄 수 있는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북한도 식량난을 겪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press@newdaily.co.kr
[자유민주·시장경제의 파수꾼 – 뉴데일리 newdaily.co.kr]
Copyrights ⓒ 2005 뉴데일리뉴스 -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August 26, 2020 at 02:11PM
https://ift.tt/3hB3CFh
양쯔강 폭우로 희토류-농업비료 초토화… 중국 식량난 오나? - 뉴데일리
https://ift.tt/2XM5B2a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양쯔강 폭우로 희토류-농업비료 초토화… 중국 식량난 오나? - 뉴데일리"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