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특위 ‘에너지 전환 포럼’
각종 데이터 수집·관리 미흡 다른 기관과의 연계 강화 필요
재생에너지 생산 잠재성 조명 태양광 시범모델 발굴 등 의견
농업분야가 날씨와 기후변화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데도 관련 대응체계는 미진해 우려를 낳고 있다. 국제사회의 탄소배출 감축에 대한 압력이 높아지면서 국내 농업·농촌을 둘러싼 에너지문제도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대통령 직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위원장 정현찬)는 10일 이같은 문제를 다룰 ‘농어촌 에너지 전환 포럼’을 발족하고 국회 의원회관에서 첫번째 토론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선 ‘농어촌 기후위기·에너지전환 데이터 기반 구축방향’을 주제로 ▲농업 에너지 전환과제 ▲기후위기 대응 데이터 구축방안 ▲농촌 에너지 통계조사 개선방안 등을 논의했다.
발제자들은 농업생산에 화석연료 기반 에너지가 많이 사용되지만 관련 통계가 부족한 현실을 문제로 꼽았다. 남재작 한국정밀농업연구소장은 “농업분야의 에너지 사용 절감·전환을 위해 시설개선이 필요함에도 적극적인 투자정책은 미흡하다며 “농업시설이 에너지를 얼마나 쓰는지 통계가 부족해 대응도 부진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최문선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현행 에너지 총조사 자료를 농촌 에너지 전환정책 수립에 활용하기엔 표본의 크기나 데이터 정확성이 미흡하다”며 “관련 법령에 농촌 에너지 통계 수집근거를 명시하는 등의 노력으로 신규 조사 설계와 예산 확보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안옥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연구단장은 “농업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선 농가·지역 단위의 세부정보가 필요하지만 관련 데이터가 턱없이 부족하고 수집된 데이터의 표준화도 미흡하다”며 “데이터 수집·품질관리 체계를 개선하고 서로 다른 기관끼리 데이터를 공유하는 연계방안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토론에 참여한 김종안 지역농업네트워크협동조합 연합회장은 “유럽은 음식물쓰레기 감축을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먹거리정책의 중점과제로 추진 중”이라며 “농업생산뿐 아니라 먹거리 생산부터 소비·폐기 등 푸드시스템 전반의 관점에서 데이터 체계를 논의해보자”고 제안했다. 농촌이 기후변화의 대응 수단인 재생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주요 공간이라는 점도 조명했다. 김지현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재생에너지팀장은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으로 농촌공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농민이 부가소득을 올리는 주민참여형 태양광 확산을 위해 다양한 농촌태양광 시범모델을 발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농어촌 에너지 전환 포럼은 이날 토론회에 더해 앞으로 ▲농어촌 그린뉴딜(8월) ▲농어촌 재생에너지 활성화와 지역순환체계(9월) ▲농어촌 기후에너지 관련 법·제도(11월) 문제 등을 추가로 논의하며 12월말까지 활동할 계획이다. 포럼 위원장을 맡은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 연구원은 “정책연구와 포럼을 통해 기후위기에 대응할 농어촌 에너지 전환의 핵심 정책과제를 도출해 정부에 제안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경진 기자 hongkj@nongmin.com
July 12, 2020 at 10:00PM
https://ift.tt/3gVeddg
“농업시설 에너지 사용 관련 통계 부족…기후위기 대응체계 미진” - 농민신문
https://ift.tt/2XM5B2a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농업시설 에너지 사용 관련 통계 부족…기후위기 대응체계 미진” - 농민신문"
Post a Comment